반응형 경제 인사이트4 [eVTOL 3가지 종류] 멀티콥터, 리프트 플러스 크루즈, 백터드 쓰러스트 현재 eVTOL은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멀티콥터 (Multicopter), 리프트 플러스 크루즈 (Lift + Cruise), 백터드 쓰러스트 (Vectored Thrust) 입니다. 우선 간단하게 비교할 수 있는 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멀티콥터 리프트 플러스 크루즈 벡터드 쓰러스트 기체 복잡도 낮음 중간 높음 항속거리 ~50km ~100km ~250km 운항속도 ~100km/h ~200km/h ~300km/h 용도 도시 내 이동, 관광 등 공항 셔틀 등 도시 간 이동 등 멀티콥터 (Multicopter) 여러 개의 로터 또는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추력을 분산시켜 비행하는 항공기로 우리에게 친숙한 소비자용 드론과 형태가 유사합니다. 비행 원리도 소비자용 드론과 거의 같습.. 경제 인사이트 2023. 6. 16. UAM 도심항공교통 산업 필수 용어 총정리 UAM 산업과 관련한 내용들이 어렵고 막연하게 느껴진다면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는 미래 신규 사업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낯선 용어들이 수 없이 등장하고 의미 또한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번역 표기에도 차이가 있고, 말하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UAM 도심항공교통 산업의 필수 용어의 의미를 총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AM 도심항공교통 & 모빌리티 & AAM UAM (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 혹은 도심항공모빌리티도 번역 표기하며, eVTOL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 등의 UAM 항공기를 이용해 도심 권역을 이동하는 공중 교통 체계를 의미합니다. 분산전기추진 (DEP), 전기동력, 저소음 등의 기반 기술 발.. 경제 인사이트 2023. 6. 16. 전기차와 eVTOL (전동 수직 이착륙기) 비교, 자율주행과 자율비행 넥스트 모빌리티로 전기차는 이미 우리 일상에서 많이 활성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직 개발도상국이나 아프리카는 이런 모빌리티 트렌드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그 외의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상당한 발전을 이뤄왔습니다. 이에 따라 또 다른 넥스트 모빌리티인 eVTOL (전동 수직 이착륙기)와 전기차를 두고 많은 의견이 있는데요, 오늘 깔끔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VTOL과 전기차 산업 eVTOL을 전기항공기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오히려 전기항공기라고 부르는 것이 사회적인 수용성 증대 차원에서 더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내연기관차가 전기차로 바뀌는 것처럼 eVTOL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래서 전기차와 eVTOL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애초에 .. 경제 인사이트 2023. 6. 16. eVTOL 수직 이착륙 항공기, UAM 도심항공교통의 핵심 UAM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항공기와 이착륙 시설, 관제 시스템 등 필요한 것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항공기 입니다. 일단 항고익가 있어야 거기에 맞는 이착륙 시설도 설립을 하고, 관제 시스템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기대하는 UAM을 실현시켜줄 항공기로 꼽히는 것은 바로 eVTOL 수직 이착륙 항공기 입니다. eVTOL이 UAM 산업의 핵심인 이유는 eVTOL이 성능 면에서 가장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eVTOL은 Electric Vertical Take-Off Landing의 약자로서 '이비톨'로 읽고, 우리 말로는 전기 추진 수직 이착륙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eVTOL이 UAM에 적합한 이유 일단 UAM에 필요한 항공기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해야 합니다. .. 경제 인사이트 2023. 6. 15. 이전 1 다음 반응형